WebSphere Application Server 에서 Spring 을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가이드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Link 확인바랍니다
하나씩 쉽게 따라 해보는 IBM WebSphere Application Server(WAS) v7, Part 10: Spring MVC
개요
이번 글에서 다룰 것은 스프링(Spring) 2.5의 스프링 MVC(Model-View-Controller) 기능을 WAS에 적용하는 것이다.
스프링은 그동안 표준처럼 사용되던 J2EE의 여러 단점을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지 고민한 끝에 나오기 시작한 여러 오픈 프레임워크의 일종이다(또 다른, 대표적인 프레임워크에는 스트럿츠(Struts)가 있다).
스프링에서는 J2EE의 가장 큰 문제점인 무겁고 컨테이너(Container) 의존적인 점을 해결하고자 IoC(Inversion of Control) 개념을 접목하여 컨테이너가 아닌 사용자에게 주체권을 가지고 오게 하고 이를 프레임워크 내에서 DI(Dependancy Ingection)와 AOP(Aspect of Programming) 등의 개념을 이용해 해결한다. 다시 말해 트랜잭션, 보안, DB 연결 등을 컨테이너가 아니라 프레임워크 단으로 내려 처리한다.
이렇게 하면 EJB를 사용할 필요없이 POJO를 이용해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EJB에서 컨테이너가 하는 역할을 프레임워크가 대신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프링 MVC는 Facade 패턴 방식을 사용하여 DispactcherServlet 앞단에 위치하여 모든 요청을 받고 이를 핸들러와 컨트롤러를 거쳐 그 결과를 뷰로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이제 이를 실질적으로 WAS에 배치하여 운영하는 테스트를 한번 해 보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